언어예절

호칭

장수골 2014. 3. 30. 09:19

호칭(呼稱)] Re:삼촌 ; 삼촌은 아버지의 남자 중 아버지의 형일때에는 큰 아버지[伯父],|호칭(呼稱)예절

根熙 김창호 | 조회 19 |추천 0 |2014.03.02. 20:11 http://cafe.daum.net/jeonyewon/IkZX/167 

 

삼촌은 아버지의 남자 중 아버지의 형일때에는 큰 아버지[伯父],

 

※ 삼촌 ; 삼촌은 아버지의 남자 중 아버지의 형일때에는 큰 아버지[伯父],

             아버지의 아우일때에는 작은 아버지[叔父]라고 해야 옳다.

             사촌이라는 것은 촌수이지 호칭이나 지칭은 아닌 것이다.

※ 어른들의 이름 ; 휘자[諱字] ; 돌아가신 어른의 이름에 대한 존칭.

                          함자[銜字] ; 살아계신 어른의 이름에 대한 존칭.

          휘자나 함자를 부를 때에는 글자 밑에 字자를 붙이거나,

          풀어서 읽는다.[甲字 植字입니다.  갑옷甲字에 심을 植字입니다.]

※ 손자를 손주[孫胄]라 하는 것은 잘못된 말이다.

    시누이를 고모라 하는 말도 잘못된 말이다.

    남편을 아빠라 하는 말도 잘못된 말이다.

※ 조카와 질녀 ; 큰 아버지나 작은 아버지 그리고 숙항의 아들 딸들을 지칭할 때 남성에게는

        조카,     여성에게는 질녀라고 해야 한다.

※ 이름 ; 아명[兒名] ; 어릴 때의 이름.

             관명[冠名] ; 관례 때에 지은 이름, 자라고도 한다.

             행명[行名] ; 보첩에 오린 항렬자에 따른 이름,[보명].

             관명[官名] ; 호적에 실린 이름[아명, 관명, 행명이 모두 같을수도 있다.]

※ 호 ; 별호[別號] ; 아명, 관명, 행명 외에 부르는 별명.

          아호[雅號] ;  스승이나 친구가 지어 주거나 스스로 짓기도 한다.

          당호[堂號] ; 거처하는 집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 별호.

          사호[賜號] ; 왕이 내려주는 별호.

          시호[諡號] ; 생전의 행적을 파악하고 왕이 내려주는 칭호.

          택호[宅號] ; 처가를 따라 남원댁, 성주댁등으로 한다.

※ 기타

    公 ; 남자의 성명, 별호, 관칭 밑에 붙인다 [충무공]

    氏 ; 남자의 성명 밑에 붙인다. 아호, 관칭밑에는 붙이지 않는다.

    先生 ; 남자의 성명, 아호, 당호 밑에 붙이며, 시호 밑에는 붙이지 않는다.

    翁 ; 노인 남자의 성명 밑에 붙인다.

    丈 ; 남자의 아호, 당호, 직함 밑에 붙인다.

    配 ; 배우자를 사후에 이르는 말.

    室 ; 살아있는 배우자를 실인이라 한다.

   上監 ; 임금을  부르는 칭호.

   大監 ; 정이품 이상의 품계를 지닌 사람을 부르는 칭호.

   令監 ; 정삼품[당상관] 이상의 품계를 지닌 사람을 부르는 칭호.

   나으리 ; 당하관 이하의 품계를 지닌 사람을 브르는 칭호.

 

   卒 ; 죽음을 뜻한다.---草天 ; 약관[20세] 전에 죽음.

                                   享年 ; 고희[70세] 전에 죽음.

                                   壽 ; 장수의 뜻으로 고희 이후에 죽음. 

 


'언어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예절  (0) 2014.04.13
처백 숙모  (0) 2014.04.13
새아제  (0) 2014.04.13
새아제  (0) 2014.04.13
손주  (0) 201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