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촌-叔에 대하여
아버지의 동기들이 숙(叔)이고 동기의 자식들이 질(姪)이다. 숙은 아재비 숙이고 질은 조카를 뜻한다. 촌수로는 3촌간이다. 아버지의 형은 형제가 여럿 있을 경우 이를 구분해서 부르는 법이 지역과 성씨와 문중마다 다소 다른 것 같다.
우리 집안에서는 아버지의 여러 형제 중에서 맏형에게만 '맏아버지(맏아베) '또는 큰아버지로 부르고 둘째는 '작은아버지' 셋째이하는 '아제'로 부른다. 미혼인 삼촌은 '아저씨(아제)' 로 부르는데 '삼촌'이라 부르는 것은 호칭어가 아닌 지칭어이기 때문에 맞지 않다. 이는 역시 tv등 방송매체의 잘못이 크다.
며느리는 시삼촌(시삼촌)에게 '맏아버님(큰아버님), 작은아버님' 으로 부르고 미혼인 나이 어린 시삼촌에게는 '아저씨(아제)' 로 부르다가 나이가 들면 아젬(아저씨님의 준말)으로 부르기도 한다. 지칭어는 호칭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아버지 형제의 부인에게는 '맏어머니, 작은어머니"이다 아버지의 누나나 누이에게는 '아지매 또는 00아지매' 로 부르는게 맞는데 ,지칭어인 고모(姑母)를 호칭어로 더 많이 사용한다. 우리 문중에서도 거의 이 경우 해당한다.
고모의 남편에게는 '새아제, 또는 00새아제'로 부르고 지칭어는 고모부(姑母夫)이다. 어머니의 남자형제는 "외아제(외아저씨)', 여자형제는 지칭어인 '00아주머니'로 부르는데 지칭어인 이모(姨母)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게 현실이다.
삼촌(三寸).숙부(叔父), 사숙(舍叔), 백부(伯父), 중부(仲父), 계부(季父) 등은 지칭어로만 사용한다. 백부는 맏아버지(맏아베, 큰아버지)를 뜻하고 그 외는 작은아버지를 뜻한다. 그리고 남의 숙부를 완장(阮丈)이라고도 한다. 지칭하는 사람이 시집 쪽 사람일 때는 '시숙부,시삼촌' 과 같이 시(媤)자를 붙여 부르고 처가(妻家) 쪽일 때는 처(妻)자를 붙여 '처삼촌, 처오촌, 처사촌'으로 외가(外家) 쪽일 때는 외(外)자를 붙여 '외삼촌, 외숙부' 등으로 부른다. 또 말하는 상대에 따라 "(너의)아버지"와 같이 상대방이 부르는 호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 조카-질(질)에 대하여
조카는 어릴때는 이름을 부른다. 남자는 혼인하면 자(字)또는 '00아비'라 부르고, 여자는 출가하면 시가(媤家)의 성을 따라 '0실이, 또는 00에미' 라 부른다. 시댁의 조카일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조카의 아내는 말하는 사람이 시부모와 같은 항렬이므로 며느리를 대하듯 결혼 초에는 "아가, 새아가"로 부르다가 아이가 있으면 '00어미, 또는 새사람'으로 부른다. 우리 집안에서는 '새사람'으로 부른다.' 질부(姪婦)'라고 부르는 이가 있는데 이는 호칭어가 아닌 지칭어이기 때문에 올바른 호칭이 아니다. 또 친조카의 아내가 아닌 먼 족질(族姪)의 아내에게 '질부(姪婦)'라고 대놓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도 잘못된 호칭의 예이다. 질녀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0서방'이다
조카의 지칭어는 '조카'가 일반적이나 한자어로 '가질(家姪), 질아(姪兒), 사질(舍姪), 장질(長姪),비질(鄙姪:겸손의 말)' 등이 있다. 남의 조카를 함씨(咸氏)라고 한다. 조카와 구분해서 누이의 자녀들은 '생질(甥姪), 생질녀(甥姪女),생질부(甥姪婦), 생질서(甥姪壻)로 부르고 처남(妻男)의 자녀들은 '처질(妻姪),처질녀(妻姪女), 처질부(妻姪婦) , 처질서(妻姪壻)로 지칭한다.
'언어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친척간의 호칭(2014 ,12 .30) (0) | 2014.12.30 |
---|---|
不惑(불혹)과 知天命(지천명)....(2014 .9 .11) (0) | 2014.09.11 |
처백 숙모 (0) | 2014.04.13 |
새아제 (0) | 2014.04.13 |
새아제 (0) | 201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