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예절

[스크랩] 종손, 주손, 사손 이란(2015 .2 .14)

장수골 2015. 2. 14. 08:02

<!-by_daum->

종손, 주손, 사손 이란?

알아두시면 좋을 듯해서.........


★ 종손(宗孫) : 시조(始祖) 혹은 중시조(中始祖)나 파시조(派始祖)로부터 대가 끊기지 않고 장자로 쭉 내려왔을 경우 예를들면 전주이씨 41세 대종손, 중시조이신 주부공의 23세 종손, 집의공파 17세 종손..... 이런식으로 부른다.(41代 종손이라고 말하면 틀린표현이다)

☆ 주손(胄孫) : 장자로 대를 이어 내려오다가 아들이 없어 양자(養子)를 들여서 대를 잇는 경우
양자로 들어온 사람은 종손이라고 부르지 않고 주손이라고 부른다. - 왜 胄(투구 주)字를 쓰는지는 알수 없으며 족보에는 양자를 보낸 쪽( 出繼 XXX)과 받는 쪽에(生父 YYY) 반드시 각각 표시하여야 제대로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사손(祀孫) : 어느 집안이 종손이나 주손이 조상에 대한 제사를 모셔오다가 어떤 사정에 의해 더이상 제사를 모실 수 없을 경우 종친중에서 시제(時祭) 등 제사를 모실 사람을 정할 경우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을 사손(祀孫: 요즘은 奉祀孫-봉사손)이라 부른다.

 

 

 

 

 

 

 

 

출처 : 블랙썬 (이춘우)
글쓴이 : 블랙썬 원글보기
메모 :

</!-by_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