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두보 시집

장수골 2013. 3. 26. 23:59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
    시청각
    간략정보
    지도
    연표
    수정이력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

  • [정의]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대성암에 있는 조선 전기 목판본 『집주두공부초당시(集註杜工部草堂詩)』.

  • [개설]
  • 『집주두공부초당시』중국 남송(南宋) 때 채몽필당(唐)나라의 유명한 시인 두보의 시에 대한 여러 주석을 모아 편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두공부’는 두보가 공부원외랑이란 벼슬을 지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두보중국 성도(成都)의 초당에 거주했던 시기부터 창작한 시를 모았기 때문에 ‘초당시’란 명칭이 붙은 듯하다.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는 1431년(세종 13) 11월에 남송본을 들여와 번각(飜刻)하여 간행한 것이다.

  • [형태]
  •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집주두공부초당시』의 제33권에서부터 제40권까지를 모은 8권 1책이다. 형태는 닥종이[楮紙]에 목판본(木版本) 선장(線裝)으로 반곽의 크기는 24.6×15.8㎝이다.

  • [구성/내용]
  • 세종 때 제도의 정비와 문화 사업을 통해 조선왕조의 기반이 안정되면서, 사대부들이 여유를 찾기 시작하였고 한시 창작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때문에 당시 중국의 유명한 시인의 시집들이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고초당시』는 1431년(세종 13) 밀양에서 목판본으로 출간되었는데, 발문(跋文)은 예천 출신으로 당시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였던 별동(別洞) 윤상(尹祥)이 찬하였다. 발문에 따르면 두보 시의 학습을 갈망하던 사대부들의 바람에 따라 1430년 관찰사 조치(曺致)가 주선하고 밀양부사 유지례(柳之禮)가 주관하여 간행하였다고 한다.

  • [의의와 평가]
  •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가 간행된 지 약 40여 년이 지나 성종 때에 비로소 두보의 시가 언해되기 시작하는데, 이처럼 성종『두시언해(杜詩諺解)』가 나오게 된 데에는 세종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가 간행되어 널리 퍼졌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간행된 시기가 분명하고 연대가 오래되어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분포지도』-양산시(양산시·통도사 성보박물관, 2004)
    『양산시지』상(양산시지편찬위원회, 2004)
    『2006 양산의 문화재』(양산시, 2006)
    [관련항목]
    문학
    [지식연계]
    문화재청:양산대성암소장집주두공부초당시(梁山大聖庵所藏集註杜工部草堂詩)
    [관련시청각 자료]
    양산 대성암 소장 『집주두공부초당시』
이용자 참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이메일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  (0) 2013.04.09
추억  (0) 2013.04.09
이조초기의 유학  (0) 2012.12.31
문경문화원 향토사료제20집  (0) 2012.12.28
[스크랩] 별동집속집발(別洞集續集跋)  (0) 2012.01.13